
동아시아에서는 옥(玉)을 최고의 寶石으로 간주해 왔다. 특히 황금(黃金)과 함께 귀중한 보배이다. 최고의 자리에 있는 王의 왕관은 서양과 달리 黃金과 玉(굽은옥, 曲玉)으로 만들었다. 특히 신라만이 금관(金冠)을 사용했다고 한다. 新羅金冠은 사슴뿔 형태로 시베리아 샤머니즘과 관련이 있어보인다. 또한 신라를 동양의 황금의 나라로 서양에서는 인지하고 있었다. 앞에서도 얘기했듯이 玉을 고구려말로 '구슬'이라고 하였다. 오히려 玉을 구슬같이 동그랗게 가공을 하지 않아도 천연구슬(珍珠)이 물속에서 나왔다. 진주조개 속의 이물질(異物質)을 분리하기 위해 조개가 같은 성분인 탄산염인 탄산칼슘(CaCO3)으로 감싸서 만든다. 참진(眞)을 사용하여 眞珠로도 많이 사용한다. 어쩌면 진주가 진짜 구슬인지 아니 玉인지 모르겠다. 한자 구슬주(珠)를 보면, 구슬(玉)이라는 뜻에, 발음 부분인 朱는 '붉다'는 뜻인데, 朱의 갑골문자를 보면, 나무의 가운데가 둥근 모양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래서 音도 나타내면서 둥글다는 뜻도 같이 나타낸다. https://aristode.tistory.com/m/58
붉은색 ( 朱, 丹, 赤, 紅)
붉은색을 표현한다면 무엇을 대상으로 할까 하고 생각해 보면, 그 대상으로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 이고 그다음이 피(血)다. 그런데 왜 나의 생각과는 다르게 다른 대상들이 붉은색의 뜻을
aristode.tistory.com
珍珠는 조개껍질과 같은 성분이며, 조개 안쪽의 색상과 광택이 진주와 동일한데, 이런 조개를 이용하여 자개 공예품인 칠보공예를 우리의 조상들은 만들었다. 얼마나 광택이 좋았으면, 신석기인들은 조개(貝)를 돈으로 사용했을까..
주성분(主成分)은 탄산칼슘(CaCO3)이고, 이물질에 탄산칼슘이 입혀지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절단하면 여러 겹으로 구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진주(珍珠)는 광물이 아니라고 한다. 광물은 지질학적 작용으로 만들어진다. 주로 판 구조 운동, 풍화 및 침식, 지진, 화산 활동 등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래서인지 珍珠는 관리(管理)가 매우 중요(重要)하다. 물에 녹지않고 산(酸)에 녹는다. 탄산칼슘은 자연적 만들어지며 석회석, 초크, 대리석 등이 주요 생산품이다. 특히 석회석은 시멘트를 만드는 없으면 안 되는 중요한 재료(材料)이다. 珍珠는 작거나 못생긴 건 갈아서 화장품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펄(pearl)이 들어가면 좋아 보이지..^^ 또한 식용으로도 사용가능하고, 어차피 탄산칼슘은 조금은 먹어도 해가 없다. 우리의 뼈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이다. 난 식당에서 나오는 메추리알을 껍질채 먹는다. 맛있게..^^ 이 껍질이 탄산칼슘이다.
珍珠는 영어로 pearl이라고 하며, 이탈리아어(Italian)나 통속라틴어 (Vulgar Latin) *perla (Ger.) Perle, (OE) pærl, (L) perna "sea mussel, 홍합"의 지소사(指小辭) 또 (L) *pernula ( Portuguese perola, 아마도 Old Saxon përula)의 어원을 가지고 있다. 또 하얗다는 뜻으로 라틴어로 alba라고 하는데 이는 albus "white"에서 왔다. alba가 진주의 뜻도 있지만, '새벽'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인도의 소라고동은 어부들이 물고기보다 더 비싸다고 한다. 특히 하얗고 윤이 나는 소라고동 껍질은 비슈누신을 부르는 🐚 피리이다.
흑진주 (黑眞珠, black pearl)는 "흑나비조개(黑蝶貝)"라는 조개에 생긴다. 진주의 색깔은 진주조개의 껍데기 안쪽 외투막의 색깔에 결정되는데, 흑나비조개는 외투막이 어두워 색이 까만 흑진주를 만든다. 껍데기 표면이 나뭇결처럼 거칠고 지름이 약 10~18mm 정도다. 분포지역은 호주, 페르시아 만, 인도양, 필리핀, 하이난, 대만, 한국, 일본, 하와이 등이다. 흑진주는 무지갯빛으로 빛나는 아름다운 검은색을 띤다. - 위키백과
珍珠는 은은하게 화려하지도 않고 부드러운 보배이다. 그래서 부드러울유(柔)와 琳이 들어가는 이름을 지었다. 柔琳
어릴때 많이 불렀던 진주조개잡이 동요가 떠오르네요..
Pearly Shells (하와이 민요)
https://youtu.be/w_olNZM-Ox8?si=ubOF5YoD3Sms6X2a
'Etym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손, 받들다 공(廾) (5) | 2025.06.24 |
---|---|
보석(寶石)4, 알렉산드라이트(Alexandrite) (0) | 2025.06.16 |
5월은 장미(薔薇)의 季節 (1) | 2025.06.01 |
人間과 衣食住 (1) | 2025.05.24 |
冊이 책인가, 울타리인가? (1)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