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ymology

보석(寶石)4, 알렉산드라이트(Alexandrite)

Aristode 2025. 6. 16. 17:06

  이번에는 정말 귀한 寶石을 알아볼까한다. 캐츠아이(cat's eye, 猫眼石)보다 더 신기한 보석을..  바로 카멜레온처럼 變色을 하는 알렉산드라이트(Alexandrite)이다. 하지만 이름과 다르게 마케도니아 알렉산더 대왕과는 관련이 없다.

Alexandrite는 크리소베릴(chrysoberyl) 鑛石이다. chrysoberyl(金綠玉)은 베릴륨(beryllium)과 알루미늄(aluminium)으로 이루어진 變色의 酸化 鑛物(BeAl2O4)이며, 미량의 철, 크롬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금록옥(chrysoberyl)의 어원은 (AG)χρῡσός • (khrūsós) '金'과 (AG)βήρυλλος • (bḗrullos) '綠柱石'의 合成語이다. 즉 'a gold-white spar', 金白色의 기둥(柱) 같다.

그리고 beryl(綠柱石)은 육각기둥의 청록 색상의 규산염 광물이다. 파랑색은 aquamarine/blue beryl이고, 녹색은 취옥(翠玉), 에메랄드(emerald)이다. 녹주석(綠柱石, Beryl)에서 미량의 금속화합물을 발견했는데, 그 맛이 달다 하여 (Gr) glykys에서 Glucinium이라고 했으나, 30년후에 베릴륨(Beryllium)를 분리하였다.

1830년, 러시아의 우랄 산맥에 있는 에메랄드 광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emerald로 여겨졌으나, 광산 감독관이 그날 밤 촛불 아래에서 살펴보니 붉은색으로 변해있었으며, 다음날 아침에는 다시 녹색으로 돌아왔다. 그 색변화가 신기하게 여겨져 당시의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에게 진상되었다. 일설에는 당시 황태자였던 알렉산드르 2세의 생일인 4월 29일에 진상되었기 때문에 니콜라이 1세가 아들의 이름을 따 알렉산드라이트로 명명했다고 전해진다. 한편 알렉산드르 2세는 자신의 治世를 기리기 위해 이 보석을 Alexandrite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녹색-청색계 스펙트럼이 강한 태양빛(可視光線)과 螢光燈 빛 아래에서는 암녹색으로 보이며, 적색-자색계 스펙트럼이 강한 白熱燈이나 촛불빛 아래에서 보면 선명한 적색으로 보인다. 이는 황색계 스펙트럼을 흡수하는 크롬이 함유된 데다 적색계와 녹색계를 비슷하게 반사하기 때문이다. 이 성질 때문에 푸른기가 강한 빛 아래에선 푸르게, 붉은기가 강한 빛 아래에선 붉게 보인다.

늦게 발견된 보석이라서 한자어가 없으나, 중국은 簡字體를 사용한다. 그래서 벽새(碧玺, 碧璽), 변석(变石, 變石), 紫翠玉 등으로 알렉산드라이트를 부르고 있다. 즉, 푸른색에서 자주색으로 색상이 변한다는 것이다.

https://aristode.tistory.com/m/83

보석(寶石)이란 무엇일까?

寶石은 보배로운 돌이다. 보배보(寶)의 갑골문자를 보면, 돈으로 사용할 정도의 귀중한 조개(貝)와 꿰어져 있는 구슬(玉) 보다는 구슬을 담는 그릇(?)이 집안에 있다. 구슬이라는 말은 玉의 고구

aristode.tistory.com

'Etym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火와 山은 火山?  (0) 2025.06.27
두 손, 받들다 공(廾)  (5) 2025.06.24
보석(寶石)3, 진주(珍珠), pearl  (6) 2025.06.12
5월은 장미(薔薇)의 季節  (1) 2025.06.01
人間과 衣食住  (1)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