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ymology

물은 흐르고 마을은 물 한가운데, 水, 川, 州, water, stream, town

Aristode 2023. 10. 7. 00:40

水, 川, 州의 갑골문자
강원도 중도 선사유적지

물과 개울, 마을을 한자로는 수(水), 천(川)과 주(州)를 쓸 수 있다. 이 세 字는 모두 같이 흐르는 개울에서 나온 것이다. 보통 河는 황하를 江은 장강(양쯔강)를 지칭한다고한다. 사실 이 두 字는 나중에 만들어진 글자이다. 개울, 내(川)를 흐르는 가장자리 개울물(水)을 마시고 사용했다. 北漢江의 상류인 春川 中島에는 중요한 선사유적지가 발견되었다.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 원삼국시대까지의 유적이 나온 중요한 유적지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강원도에서 놀이시설, 레고랜드를 건설해서 우리 역사의 소중한 유적지를 훼손했다. 삼악산을 올라 북한강을 내려다보면, 중도라는 섬이 강 한가운데 위치해서 양쪽으로 흐르는 강물이 해자(垓子/海子) 역할을 하여 외세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해주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신석기시대의 전형적인 마을이다. 갑골문자를 보면, 개울물(水)과 개울(川) 그리고 개울 한 가운데 위치한 마을(州)을 볼 수 있다. 이 마을은 청동기를 거쳐 국가를 형성한 시기로 발전했다. 더 발전하여 성을 만들고 강물이 아니라 인공적인 해자를 만들었다.
영어 water는 PIE *wed-로써 wet와 winter의 동일 어원이다. water는 마르지 않은 젖어있는 상태이며 유럽의 winter도 항상 눈보라와 눈에 항상 젖어있는 계절이었다. 한편 개울 stream은 PIE *sreu-로써 flow 흘러가는 것이고, 마을 town은 OE tūn, walled or fenced place이다. 마을을 보호하는 방벽(防壁)으로 자연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palisade, 목책(木柵)은 이러한 강이 없는 마을을 보호하는 수단이 되었다.

'Etym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껴안고 있는 사람과 꼭두, 女, 母, 每, 乳  (1) 2023.10.29
농경과 곡식, 禾, 黍, 來, 麥  (0) 2023.10.25
눌러앉다(4), 칼(御), 명령(命令)  (3) 2023.09.24
눌러앉다(3), 배려, 配慮  (1) 2023.09.19
時와 해시계  (1) 2023.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