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돈'은 돌고 돈다고해서 '돈'이라고 말한다. 맞는 말이다. 어원은 '돌다'에서 나왔다고한다. 그래서 돈은 누군가 어딘가에 쌓아두면 안되는 것이다. 우리의 선조들은 순환의 의미로 '돈'의 개념을 사용해 왔다. 어떤 형태가 되든.. 또한 '돌(石)'도 '돈'과 같은 어원이다. 돌고 돌아 '돌'이 되고 '돈'도 돌아야하는 것이다.
청계산 매바위 밑에 '돌문'바위가 있어서 지나가면, 항상 돌문바위를 3번 돌고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 돌문 바위는 성분이 '돌'일 수 있지만, '돌다'라는 이중의 뜻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돈이나 재물을 벌게 해달라고 해야하는 것이다.
영어 money는 라틴어 moneta에서 왔는데, Moneta "adviser" 로마의 신전에서 주조하여 'money'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돈을 좋은 곳에 사용하라고 충고하는 것이지 않을까.. 그리고 'mint coinage'의 뜻도 있는데, 고대영어 mynet를 거쳐 중세영어 mynt가 되었지만, 라틴어 cuneus 'wedge'가 고대프랑스어 coigne를 거쳐 들어오면서 mint를 밀어내면서 coin으로 정착하고, mint는 '화폐 주조'의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한자 貝는 마노조개 'cowrie'의 모양을 본딴 갑골문자로 출발한다. 동북지방에서는 귀한 재료로써 신석기 시대에 돈의 역할을 했다. 그래서 재화와 보배와 관련된 한자에는 기본자로 꼭 들어가게 된다. 청동기시대는 coin(錢)을 사용하고, 이후 누에를 치면서 幣(화폐, 폐백, 재물..)를 사용하게 되었다. 귀한 비단을 돈의 대용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오늘날 돈은 한자로 화폐(貨幣)라고 한다. 영어는 라틴어에서 온 money와 coin을 사용하고 있다.
'Etym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家, 집이냐, 돼지우리냐? (집, 家, house, home) (3) | 2022.10.05 |
---|---|
눌러앉다, incumbent (to lie down), sit down (0) | 2022.10.03 |
비, rain, 雨 (0) | 2022.09.07 |
Diode (Two way), 두 길 (2) | 2022.08.28 |
택시, taxi, cab, 出租車 (1)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