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18

한글은 한국어 입문(入門)과정이고, 漢字는 韓國語를 풍성(豐盛)하게 한다

한국어는 고대(?)부터 근대까지 漢字를 사용하여 왔다. 문자를 잃어, 달리 표기할 문자가 없었던 까닭이다. 하지만 1446년 세종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후에도 여전히 사대부는 漢字를 사용해 왔다. 근대의 지식인까지도 왜 편리한 한글(언문, 훈민정음)을 두고 어려운 한자를 고집했을까? 물론 사대부의 중국 사대사상도 있지만, 그보다는 진입장벽이 높은 漢字를 사용한 한문을 사용하므로해서 누구나 접근을 막고자 했다. 하지만 훈민정음 창제 후에 양반도 漢字를 배울 때는 언문을 이용하여 漢字를 배웠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어려운 漢字의 음을 쉽게 음성문자인 한글(언문)로 표기할 수 있었던 것이다. 소위 '토'라고 하는, 우리가 영어나 외국어를 배울 때, 발음이 생각나지 않거나 어려울 때는 항상 한글로 음을 붙였다. ..

Language 2024.01.22

훈민정음(訓民正音)은 印刷를 念頭에 둔 글자?

세종은 훈민정음을 언문(諺文)이라고 하였다. 비하의 뜻은 전혀 없었다. 공식적인 훈민정음해례본에 사용한 어휘가 그런 뜻을 가지고 있겠는가.. 단지 백성과 더 가까운 漢文이 아닌 우리가 말하는 대로 쓸 수 있는 글(諺文)이라는 뜻이다. 세종은 중국어가 아닌 우리말을 諺이라고 했다. 문자의 발전은 필기도구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집트 상형문자는 기원전 3100년경 조형물에 조각한 형태로써, 이 히에로클리프(Hieroglyph)는 거의 그림문자 수준이었고 표의문자였다. 나중에 頭音을 빌려서 알파벳 25자를 뽑아 표음문자로 사용하다가 파피루스(papyrus) 갈대를 이용하여 종이처럼 사용하면서 히에라티크(Hieratic), 데모티크(Demotic)로 마치 한자의 서체가 바뀌듯 이집트 상형문자도 형태가 바..

Language 2023.12.30

검은 진실은..?

한자에서 '검다'를 찾아보면, 검을 현(玄), 검을 흑(黑), 검을 려(黎) 정도가 있다. 이외에도 검은색을 의미하는 한자로 까마귀오(烏) 등이 있다. 검은색의 한자어는 흑색(黑色)이다. 하지만 우리말의 색깔에 대한 형용사는 꽤 구분이 많다. 검은색이라고 했지만, 이를테면 黑은 시커먼 색이고 烏는 까마귀이지만 색상은 새가 까마니까 새 까만색^^"이고 玄은 검붉은 색이고 오늘 얘기할 黎는 꺼뭏꺼뭏한 색이다.玄은 玄關, 玄米, 玄武巖, 玄學 등 다양한 뜻으로 사용한다. 玄은 갑골문이 없으나, 金文을 보면 쓸개를 걸어 말린 모양이다. 색깔은 검붉은 색이고 말린 쓸개는 약으로 쓰인다. 쓸개를 약으로 쓴다니 묘하기 그지없다. 黑은 검은색을 의미할 때 사용하고 金文에서는 굴뚝에서 나왔는지 숯검댕이를 얘기하지만, 갑..

Language 2023.11.12

로맨스(romance)가 언제부터 낭만(浪漫)이 되었을까..?

18세기말부터 19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일어난 로맨티시즘(romanticism)은 고전주의에 반대하고 자유롭고 자연적인 감정주의를 말한다. 즉, 우리말로는 낭만주의(浪漫主義)라고 한다.문학적으로는 14세기 유럽에서 산문의 허구적인 이야기로서 중세 전통의 로맨스(romance)를 말하며, 현재 ᅗᅳ랑스어로는 roman이라고 한다. roman은 14세기에 ᅗᅳ랑스어에서 영어로 들어왔으며, 과거 ᅗᅳ랑스에서의 Roman은 ᅗᅳ랑크어(Frankish)를 사용하는 대신에 선진 문물의 Latin어(로마에서 사용한)로 쓴 산문을 선호하였다. 한마디로 로망이었다. 우리의 통일신라 때처럼 우리말 어휘를 한자어로 대체한 것처럼..^^" 이 로망(roman)이 19세기말 일본에서 비슷한 발음의 한자어로 바꿔서 로:망/..

Language 2023.11.06

베프가 아니라 베ᅗᅳ (best friend)

벌써 또 한글날이 1년이 지났다. 이번 한글날은 특별했으면 한다. 한글은 우리 한국어를 쓰는데 어려움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문자이다. 정말 좋은 글이다. 하지만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많이 이어받았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많이 있다. 한마디로 訓民正音을 단순화한 문자가 한글이다. 訓民正音도 단순화한 부분이 있는데, 한글은 많이 간략화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다.먼저 외국어 특히 영어를 한글로 표현할 때, v와 f의 구분을 못한다는 것이다. 본래 訓民正音은 외국어를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순경음(脣輕音)이 그렇다. 순음(脣音)에 'ㅇ'을 연서(連書)하여 사용한다. (ㆄ,ㅸ,ㅹ,ㅱ)문자를 고려하면, v와 f는 'ㅂ와 프'가 아니라, 'ㅸ와 ㆄ'에 가깝다. 물론 한국어가 유성자음이 없고, 무기음/유기음 ..

Language 2023.10.08

훈민정음(訓民正音)과 한국어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려고 한 이유는 무엇일까? 나랏말이 중국말과 달라 정확한 우리말을 표현할 수 있는 몇천년이 지나도 읽는 음이 변하지 않고 쉽게 쓸수 있는 글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왜냐하면 그 당시까지 이두(吏讀 ) 를 이용했으니 말이다. 향찰, 구결도 사용하여 우리말을 표현하려고 시도도 있었으나, 漢字의 벽을 넘지 못했다. 漢字는 음이 변하는 것을 알았다. 訓民正音이라는 이름을 보면 글자가 아닌 '바른소리'라고 했다. 이는 우리의 소리를 바르게 사용하도록하는 것이다. 한글을 만들면서 바른 음을 사용하도록 고민하였다. 또한 이 한글을 이용하여 한자음도 정확하게 발음하기를 원했다. 15세기 한국 자음은 어두 유성음(그렇다고 유성자음이 없는 것은 아니다.)은 사라지고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만..

Language 2023.06.12

알타이어족, 트랜스유라시아 어족(Transeurasian languages)

트랜스유라시아어족(Transeurasian languages)은 알타이 제어(Altaic languages)라고 이전엔 얘기했다. 이 어족에 포함된 어족은 퉁구스어족, 몽골어족, 튀르크어족과 한국어족, 일본어족을 포함하는 가설이다. 기존의 알타이 제어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고립어라고 분류했다. 즉, 바스크어처럼 계통을 알 수 없는 언어라고 하나, 핀란드 언어학자인 람스테트(Gustaf John Ramstedt)는 알타이어족에 한국어를 포함하였다. 작년 2021년 11월 10일 네이처(nature)지에 벨기에 언어학자인 마르티너 로베이츠(Martine Robbeets)가 발표한 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Language 2022.12.30

한글과 한글날, Hangeul Day

오늘은 한글날이다. 그러나 한글날은 한국어의날이 아니다. 한글날만 되면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자고 부르짓지만, 한글은 문자이고 한국어는 언어이다. 엄연히 다른 것이다. 물론 한글은 한국어를 위해 만든 문자이기는 하다. 그래도 구분을 해서 명칭 사용을 했으면 한다. 1443년 창제 당시 훈민정음은 우리말뿐 아니라 외국어도 표현할 수 있게 만든 문자이다. 하나 지금의 한글은 우리음도 제대로 표현을 못하게 만들어 놓았다. 그래서 외국어도 바르게 표현 할 수 있도록 한글에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들을 되살려야 한다. 외국어(특히 영어)의 파열음과 마찰음을 우리는 'ㅂ(b,v), ㅍ(p,f)'으로 표기하면서 발음을 구분하지 않는다. (물론 ㅸ, ㆄ 의 음가는 v, f와는 양순마찰음과 순치마찰음으로 다르다.) 이..

Language 202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