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東西南北과 前後左右는 모두 四方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는 기본적으로는 전혀 다르다. 東西南北은 변함없는 방위(方位)를 나타내며, 前後左右는 자신을 기준으로 하는 방위이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 향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前의 갑골문자는 대체로 발(止)과 배(舟)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좌우에 물(水)을 표현하기보다는 합류(合流)하는 길을 표현하고 있다. 물론 이 부분이 없는 것도 있다. 그래서 ‘(배가)앞으로 가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하지만 배(舟)가 아니라 사람의 배(腹)를 동음이의(同音異義)로 표현한 것이라고 본다. 더구나 강물이 아닌 길을 표현한 것을 보면, 길 앞으로 가는 사람의 배와 발을 표현한 것이다. 즉, 배를 내려다보고 발이 앞으로 나온 것을 보고 앞(前, in front)이라고 했다. 그런데, Wicktionary의 죽간(竹簡)에 지금의 칼(刀)이 추가되어 있다고 한다. 이것이 사람을 그린 것일 수 있다. 그러면 말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와 발, 사람까지 그려서 앞쪽이라는 것을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영어 front는 (L)frontem으로 ‘forehead, brow의 뜻이었다. 이마든 발이든 앞쪽을 향하고 있다.
後의 갑골문자는 Wicktionary에는 幺(작을요)와 夂(뒤쳐져올치)만 나타나 있다. 마치 머리를 땋아 댕기를 맨듯한 뒷모습이다. 명주실을 땋은 것이 糸(실사)가 아니라 머리를 땋은 모습도 같지 않을까. 夂가 댕기가 아니라 발일 수도 있다. 여하튼 뒷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金文에 오면 彳(조금걸을척)이 그려져 길을 추가하였다. 영어 behind는 (OE)behindan ‘at the back of, after’이다. 또 rear는 (L)retro ‘back, behind’이다. 또한 back은 (OE)bac ‘back’이고 (PG)*bakam이다. 오늘날 동물의 등뼈, 등의 뜻으로 쓰이고, ridge도 back의 뜻으로 사용된다.

Wicktionary에는 右의 갑골문자는 오른손을 나타내고, 左의 갑골문자는 왼손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다른 site는 갑골문자가 없고 金文부터 나오고 있으며, 입이 추가되어 있다. 즉, 입(ㅂ)의 오른쪽에 있는 손을 표현하여 오른쪽이라고 하고, 왼쪽은 工(장인공) 모양의 왼쪽에 왼손을 표현하였다. 또 일부는 입(ㅂ)과 혀를 나타낸 것도 있다. 그래서인지 工은 우리가 아는 글자가 아닌 입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를 글로 쓰기가 좀 난망한데, Cleft lip and palate을 표현하지 않았을까 한다. 영어의 left도 (OE) left가 idle, weak, useless의 뜻으로 '약하고 쓸모없는 것'등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 반대로 右는 right은 ‘옳다’(바르다, correct)의 뜻을 가진 것을 보면 옛부터 사람들은 좋지 않은 것은 왼쪽, 바른 것은 오른쪽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友의 갑골문자는 손이 둘이다. 같은 손이 둘인 것은 한 사람이 아니다. 즉, 서로 도와주는 손이 친구인 것이다. 영어 friend의 (OE) frēond는 friend, lover이다. 옛날의 frēond가 오늘날의 girl/boy friend로 다시 살아난 것이다.^^
'Etym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에 진심인 민족 (4) | 2024.09.21 |
---|---|
초보 初步, 첫걸음 (사람) beginner, novice (3) | 2024.09.10 |
鬼神, 눌러앉다(8), 괴기스럽고 두려운 존재 (1) | 2024.08.11 |
賣買 (물건(物件)을 팔고 사고 하는 일) (1) | 2024.07.19 |
까마귀(烏)는 새(鳥)인가? (隹, 鳥, 烏, 禽) (2) | 2024.06.30 |